제 3차 조찬세미나
“박물관인의 아침 생각” 개최
- 일시: 2023. 6. 3. 토 09:00~11:00
- 장소: 서울공예박물관 교육동 1층 강당
- 주제: 한국 박물관교육의 현황과 과제
- 발표자
박물관에서 교육의 의미와 인식
윤태석, (한국박물관포럼 이사)
----------------------------------------
박물관 교육과정과 학교 연계
장진혜, (서울덕암초등학교장)
----------------------------------------
박물관 교육의 새로운 리더십과 리프레임
한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에듀케이터의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제언
한정희 (독립기획자, 前디뮤지엄 부관장) |
|
|
한국박물관포럼은 매달 첫째 주 토요일 9시에 박물관인들의 생각과 의견을 공유하는 조찬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번 6월 세미나는 ‘한국 박물관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자리로, 총 4명의 발표자(윤태석, 장진혜, 한주연, 한정희)가 박물관교육에 관한 각기 다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윤태석 발표자는 박물관미술관법에서 박물관교육의 의미와 인식을 살펴보고, 장진혜 발표자는 박물관과 학교가 연계 가능한 협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주연 발표자는 박물관교육자의 박물관 리더쉽과 역량 개발의 필요성을, 한정희 발표자는 현장 에듀케이터들의 실제와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안을 하며 마무리 하였다. 이번 조찬세미나는 현장참여 21명, 온라인 접속 36명으로 총 57명의 박물관 종사자 및 관련 전공학생이 참여하였다. |
|
|
제 4차 조찬세미나
“박물관인의 아침 생각” 안내
|
|
|
- 일시 : 2023년 7월 1일 토요일, 09:00~11:00
- 장소 : 서울공예박물관 교육동 1층 강당
- 주제 : 국내 미술관과 글로벌 환경
- 발표자
공립미술관 디렉터십과 조직문화
김찬동 한국박물관포럼 이사, 전 아르코미술관장
----------------------------------------
ICOM뮤지엄 정의의 역사적 궤적
: 미술관 운영의 쟁점과 과제를 중심으로
김연재 (한국종합예술학교 미술이론과 객원 교수)
----------------------------------------
뮤지움 이노베이션과 큐레토리얼 실천
임근혜 (아르코미술관장) |
|
|
[회원 소속 기관] 서울역사박물관
국제교류전
《상하이역사박물관 소장품 특별전
-찬란한 은빛 보물》
글 투고: 서울역사박물관 이재경 |
|
|
전시기간
2023.6.2.~8.27.
전시설명
서울역사박물관-상하이역사박물관 국제 교류전시 <상하이역사박물관 소장품 특별전-찬란한 은빛 보물> 개막하였습니다. 중국을 대표하는 도시역사박물관인 상하이역사박물관이 발굴, 연구, 소장하고 있는 은기(银器)를 통하여 상하이의 역사와 상하이 사람들의 일상생활 그리고 가치관을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상하이역사박물관 개요
개관 : 1984년(현 건물 개관 : 2018년)
기능 : 상하이 100년 역사를 보여주는 예술품, 문헌자료, 사진 등 전시
교류현황 : 상호 교류협력 양해각서 체결(2018.10.31.)
|
|
|
[회원 소속 기관] 국립민속박물관
국제학술지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18호 발간
|
|
|
국립민속박물관은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국제박물관협의회 한국위원회ICOM KOREA와 공동으로 발간하고 있는 전문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18호를 발간하였다. 총 32개국 66편의 논문이 투고되었으며, 심사를 거쳐 12편의 논문과 서평 1편이 선정되어 실렸다. 특히 분쟁지역 갈등 완화의 역할을 하는 무형문화유산을 다루는 세르비아 출신 옐레나 츄코비치는 논문 「자원으로서의 무형문화유산 :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지방의 시민 정치 활동가 현장조사」는 내전(유고슬라비아 내전, 1991-1999)을 겪으며 그로 인한 충격과 파괴로 사회적 갈등이 촉발되었으나, 지역 구성원들이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사회 공통의 과제로 인식, 각각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여 갈등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밖에도 이번 호에는 200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지역사회에서의 무형문화유산의 역할, 현지조사를 통한 무형유산의 보존 방법, 언어 보존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보호방법 등 다채로운 주제의 논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학술지는 국립민속박물관 누리집(www.nfm.go.kr)<발간자료원문검색>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
|
|
한국박물관포럼 koreamuseumforum@gmail.com 발행인 : 간사 안예리, 간사 이재경
디자인: 간사 김윤지 |
|
|
|
|